I. 해상 운송업 업황
해상 운송업은 크게 컨테이너, 탱커, 벌크선으로 분류하며,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컨테이너 (CFI, 컨테이너 운임 지수) 및 벌크 (BDI, 발틱 운임 지수)이다. 이에 아래 2가지 업황에 대해 분석하였다.
1. 컨테이너
- 2021년도 미국의 소비 증가가 이끄는 미주 항로 물동량 지속적으로 상승 예상
1) 2020년의 컨테이너 호황 원인 분석
- 글로벌 컨테이너 해운 시황은 미국 항로에 기인하였음.
(미주항로를 제외한 유럽, 동서항로, 남부항로는 2019년 대비 소폭 감소했으나, 미주항로 물동량이 yoy 4.9% 증가)
① 코로나 팬데믹에 불구하고, 미국의 정부 지원금으로 인해 미국 가처분 소득 증가
(총 소비 지출은 감소했으나 상품/재화에 대한 소비는 증가, 즉, 서비스 소비가 감소하고 상품/제품 구매)
② 코로나로 인한 봉쇄조치로, 미국 소비자의 온라인 소비 비중 크게 증가 (yoy + 15.7%)
③ 특히, 해외 직구 소비 증가로 컨테이너 공급망 차질 발생 (직구 소비 yoy +22%)
- 이로 인한 컨테이너 박스 부족과 항만 체선 -> 세계 컨테이너 운임 지수 (CFI) 상승
2) 2021년도 지속될 전망
① 코로나 팬데믹 완화로 여행/레저 등 서비스 소비는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이나,
② 미 정부의 경기부양책/경기회복에 따른 가처분 소득도 증가할 것이며,
③ 한번 온라인 채널을 통해 확산된 소비 방식은 점점 더 대중화될 것이기 때문.
2. 벌크선
- 2021년 상승 사이클 도래 전망
①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로 중국의 곡물 수입 증가 추정
② 경기회복, 인플레이션 기대감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 -> BDI 지수에 영향
③ 코로나로 인한 경기침체로 감소했던 석탁 물동량 다시 증가
II. 관련주 Top-pick
HMM
- 국내 1위, 세계 8위 해운사
- 컨테이너선, 벌크선 운송업을 영위하는 세계적인 종합 해운 물류 기업
- 현대글로비스, GS칼텍스, HEBEI STEEL, PETRON
- 3개년 연속 적자였으나, 2020년 흑전 성공, 2021년 실적 폭등 중
1. 시총 및 주주구성
- 시총 : 약 11.6조
- 대주주 현황 : 산업은행 15.97%, 한국해양진흥공사 11.93%, 신용보증기금 7.1%
2. 재무제표
- PER(현재) : 86.06
- 부채율 : 455.11%
- 자본유보율 : -176.8%
3. 모멘텀
1) 실적 폭등, 창사 이래 처음 분기 영업이익 (1Q21) 1조원 기대
- 올해 1분기 실적 컨센서스는 매출 2조3673억원, 영업이익 9118억원 (yoy +80.2% / 흑전)
- 특히 1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창사 45년 만에 분기 최대 실적이자, 지난해 전체 영업이익(9808억원)과 맞먹는 규모
- 1분기 당기순이익은 무려 지난해 전체 당기 순이익의 2배에 달함.
- 2021년 추정 EBITDA 약 3.7조원. 재무구조 급격한 개선 예상
2) MSCI 신규 편입 전망
- 5월 MSCI 반기리뷰, 5/28 신규 MSCI 지수 편입 기대
4. 투자 RISK
하기와 같이 아직 재무 상태가 불안전하여 전환 사채 발행 위험이 있음.
1) 미상환 전환 사채 약 3조 2,200억원
2)- 미상환 신주인수권부사채 약 6,000억원
'국내) 섹터 및 종목, 주요 뉴스 분석 > 철강, 조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D한국조선해양 - 조선 대장주 / 3분기 실적발표 일정 (1) | 2023.10.17 |
---|---|
조선주 관련 주요 뉴스 분석 / 조선업 관련주 (HD한국조선해양, 삼성중공업, 한화오션 실적 전망) (0) | 2023.10.13 |
시멘트 관련주 총 정리 - 한일시멘트 / 아세아시멘트 (23.09.13 updated) (2) | 2023.09.13 |
주택 공급 완화 관련주 (건설/기자재) 밸류체인 총정리 - 한일시멘트/(주)동양/KCC글라스/현대엘리베이터/현대리바트 (0) | 2023.09.12 |
포스코 인터내셔널 총 정리 - 철강 / 원자재 관련주 (0) | 2021.04.2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