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. 업황
1. 2020년 총평
- 코로나 영향으로 해외매출 비중이 높은 업체들을 중심으로 호실적을 달성
- 전반적인 유저들의 사용시간 확대, Paying User Ratio 상승, DAU상승 등이 2Q를 정점으로 감소 중
- 마케팅 단가 하락 등으로 국내업체들이 적극적인 마케팅활동을 진행
2. 2020년 투자 주요 포인트
1) 4Q에 출시 예정이던 게임들이 딜레이되면서 역대 가장 많은 대형신작이 상반기에 집중
(엔씨소프트, 컴투스, 넷마블 등)
- 반면 해외 기대신작들은 연초에 출시되는 게임이 드물어 경쟁강도가 크지 않음
- 올해는 1~5월와 12월에 대형신작이 집중되어 있어 어느 때보다 연 초 신작 성과가 중요함
2) 중국 첫 외자 판호 허가 시점 중요
- 3~4월 이전에 발급될 경우 외자판호의 확대 전망, 3월 이후 발급 될 경우 중국게임시장의 쇄국정책 유지 전망
II. 주요 게임들의 출시 일정
III. 관련 대형주
넷마블
넷마블 신작 출시 일정 총 정리
넷마블 - 글로벌 게임사 (해외 매출 비중 약 70%) - 대표작 : 세븐나이츠2 (12%), 리니지2 레볼루션 (12%), 불소 레볼루션 , 일곱개의 대죄 (10.4%), 마블 IP (25.5%) 등 1. 시총 및 주주 구성 - 시총 : 약 11조..
healingmeu.tistory.com
펄어비스
- 글로벌 게임사 (해외 매출 비중 약 77% : 북미/유럽 45% , 아시아 32%)
- 중국 판호 발급 재개시 대표적 수혜주
- 대표작 : 검은 사막
1. 시총 : 약 4.4조
- 주요 주주 구성 : 김대일 외 50.27% / 자사주 7.9%
2. 재무재표
- PER(현) : 27.81 / PER(20E) : 21.1 / PER(21E) : 21.0
- 부채율 : 38.12
- 영업이익률 : 35%
- 4Q20 실적발매출/영업이익 1,206억/387억 (QoQ +2.0%, -4.6%)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
( 현재 이브에코스 출시 이후 올해 말까지 신작 출시가 거의 없는 상황에도 매출과 영업이익은 안정적)
3. 모멘텀
1) 붉은 사막 : 21년 4분기
- PC, Console, MMORPG
- 12월 더 게임 어워드에서 붉은사막 트레일러가 공개됨에 따라 기대치가 폭증
2) 검은 사막의 북미-유럽 직접 퍼블리싱 : 21년 2/25부터
- 퍼블리싱 전환 시 매출 개선 (약 +40% 기대)
3) 검은 사막 PC, 모바일의 중국 판호 기대
- 오래 전 중국 진출을 위한 준비는 이미 마쳤고, 퍼블리싱 계약도 오래 진행했던 만큼 판호만 나오면 매출 직결
(퍼블리싱 업체는 밝히지 않았으나 업계에서는 텐센트로 예상)
IV. 관련 중소형주
넵튠 / 룽투코리아 - 2021 신작 출시 일정 및 모멘텀 총 정리
넵튠 / 룽투코리아 - 2021 신작 출시 일정 및 모멘텀 총 정리 (updated 21.02.05)
I. 업황 게임주 21년 신작 출시 일정 및 주요 종목 - 넷마블 / 펄어비스 게임주 21년 신작 출시 일정 및 주요 종목 - 넷마블 / 펄어비스 I. 업황 1. 2020년 총평 - 코로나 영향으로 해외매출 비중이 높은
healingmeu.tistory.com
'국내) 섹터 및 종목, 주요 뉴스 분석 > IT, 엔터, 게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넷마블 신작 출시 일정 총 정리 (0) | 2021.03.24 |
---|---|
와이지엔터테인먼트 / YG PLUS 모멘텀 총 정리 (21.05.25 updated) (0) | 2021.02.04 |
넵튠 / 룽투코리아 - 2021 신작 출시 일정 및 모멘텀 총 정리 (updated 21.02.05) (0) | 2021.02.02 |
게임주 - 웹젠 / 넷마블 - 3분기 실적 및 4분기 신작 일정 (0) | 2020.11.04 |
전자상거래 관련주 -코리아센터/카페24/에코마케팅 (골드만삭스 Rule of 10) (0) | 2020.10.12 |
댓글